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행자로서 2022.11.29 ~ 2031.12.31 동안 진행되는 경기도의 사업지구입니다. 간략하게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에 대해 알아보고 진행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 이슈되고 있는 사항은 무엇인지 파악해보려고 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해당 지구가 어떻게 변해가는지 모니터링 해보겠습니다.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는 원래 2010년에 광명시흥보금자리지구로 지정되었었는데,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2015년에 해제되었던 곳입니다. 이후 부동산 공급을 위해 2021년 2월에 국토교통부에서 3기 신도시로 지정한 지구입니다.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의 위치는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옥길동, 노온사동, 가학동 및 시흥시 과림동, 무지내동, 금이동 일원입니다. 부천 옥길지구, 광명 하안2지구, 시흥 은계지구, 광명 문화복합단지, 광명 학온지구, 광명시흥 일반산업단지 등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네요.
택지지구가 길다란 모양인데 양 옆으로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양지산, 봉재산 등의 산들과 여러 군부대들 사이의 평지에 조성하는 형태입니다. 또한 안양천의 지류인 목감천이 택지지구의 중앙을 세로로 가로지르고 있는데 목감천을 기준으로 오른편은 광명, 왼편은 시흥으로 행정경계가 나뉘어져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는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라고 합니다. 참고로 3기 신도시는 총 6군데로 1차로 경기도 남양주시 왕숙지구, 하남시 교산지구,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테크노밸리가 지정되었고, 2차로 고양시 창릉지구, 부천시 대장지구가 지정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3차에서 광명시흥테크노밸리가 지정된 바 있습니다.
현재는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를 세로로 관통하는 금오로, 광명로와 가로로 관통하는 부광로, 금하로, 범안로, 제2경인고속도로가 주요 진출입로입니다. 향후에는 광명서울고속도로, 마유로, 미류대로가 추가될 예정입니다.
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광명 IC), 서해안고속도로(순환도로망 연결)
광명~서울 고속도로(2027년 개통예정), 범안로 확장 및 서울 직결도로 신설, 제2경인고속도로 지하화
KTX/경부고속철도(광명역), 지하철 1호선, 7호선(인근 광명사거리역, 천왕역 등을 통해 접근 가능)
신안산선 복선전철, 월곶~판교 복선전철, 광명시흥 도시철도, 남북 철도 노선, 신천~신림선 연장
2024년에 토지 보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가 토지 보상 계획안 발표 시기가 2025년 6월로 미루어졌다가 다시 한번 2025년 9월로 연기가 되었습니다. 잦은 연기의 사유는 3기 신도시 중 규모가 제일 커 지장물(토지 위의 건물, 나무 등 보상 대상이 되는 물건) 조사 등에 시간 소요가 많다는 것인데요. 2010년에 보금자리 주택 지구로 지정 되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대략 16년여의 시간동안 재산권 행사가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주민들의 반발이 큰 상황입니다. 9월에 보상계획이 공고되어도 이의신청, 감정평가 등을 고려하면 실제로 보상을 받는 시기는 내년에야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주민들이 보상지연에 대한 연합시위를 열고 즉각적인 토지 보상을 촉구하고 있고, 보상 지연에 따른 이자부담에 대한 보상도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요즘 전세사기로 인한 피해자가 급증하고 있어 한창 이슈가 되고 있죠. 2023년 6월에 전세사기를 당한 피해자들의…
청약통장을 쓰지 않아도 되고, 별도 특별한 조건이 없는데다가 되기만 하면 시세차익과 내 집 마련을 한…